-
태화단열 / 열관류율단열 알아보기/열이란?? 2023. 5. 8. 22:00728x90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태화단열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는
'열관류율'
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 포스팅 할 열관류율과
추후에 포스팅 하면서 다룰 내용인 열전도율, 열저항율은
단열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니
평소에 하던 포스팅보다 조금 더 집중해서 해보겠습니다.
늘상 하던대로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에서는
사전적인 의미부터 조사를 해봤습니다.
열관류율이
열관류에 의한 관류 열량의 계수로,
단위 표면적을 통해 단위 시간에 고체벽의 양쪽 유체가
단위 온도차일 때 한쪽 유체에서 다른쪽 유체로 전해지는 열량.
열통과율 이라고도 한다.
(네이버 사전 형님 中 건축용어사전)
일단 오늘도 네이버 사전 형님께 여쭤봤는데
태화단열 온라인팀 에서는 다들 이해하기가 너무 어렵다고 합니다 ㅠㅠ
한번 더 요약해서 말씀드리자면
열의 전달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단위면적의 재료를 통과하는 열량을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열관류시험을 통해 건축물의 열에너지 손실 방지 성능을 판단할 수 있고,
건축 단열부재 및 벽이나 창 등의 단열성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직도 너무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조금 더 간단하게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형님의 어학사전에 한번 더 도움을 청해봤는데요
熱 (더울 열)
灌 (물 댈 관)
流 (흐를 류)
率 (비율 율)
한글도 어렵고 한문도 어렵네요...
유두리있게 풀어보자면
'열이 관통해서 흐르는 비율'
로 정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시를 하나 들어볼게요.
결혼 전 총각일 때부터 저는 고양이들을 키웠습니다.
(결혼 후에도 키우고 있습니다. 냥이들 케어는 이제 전적으로 집사람이 맡아서 하고 있지만 ㅎ)
결혼 전 혼자 살 때
거실이 따로 있었고 안방은 제가 쓰고 남는 방 하나는 냥이들 전용 룸으로 사용했었습니다.
거실 냥이들 룸 한여름 어느 일요일 점심
모처럼 집에서 쉬면서 영화 한 편 보고 있는데
거실이 미치도록 더워지기 시작했습니다.
한 여름 에어컨 비용 아끼겠다고
더운날에도 빤쓰하나만 걸치고 선풍기 켜놓고 꾸역꾸역 버티고 있는데
고양이놈들은 너무도 평온하게 자기들 방에서 낮잠을 자고 있는 겁니다.
자!!
여기서 하나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지점!!
만물의 영장인 인간이 이렇게 더워서 힘들어하는데
감히 고양이들이 더위도 많이 느끼지 않고 평온하게 낮잠을 자고 있다??
인간보다 고양이들이 더위를 덜 타는 것인가??
아니면 나 혼자만 특히 더위를 더 많이 타는 것인가??
사실 답은 외벽을 통해
열이 들어 오는 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거실에 비해 고양이들이 쉬는 고양이 룸은
바깥쪽 외벽의 크기와 창의 크기, 방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을 덜 받기 때문이었던 거죠.
자!! 다시 돌아와서
열관류는 열이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해
공기층에서 공기층으로 열이 전해 지는걸 말하며,
단위시간에 1㎡의 단면적을
1℃의 온도차로 있을 때 흐르는 열량을
열관류율이라고 합니다.
열관류는 W/㎡k로 표기하며
세상의 모든 단열재 및 창호의 두께가 1m 두께로만 이루어져 있으면
우리는 열전도율만 알아도 무방하지만
단열재 및 창호, 문의 두께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열관류율 값을 알아야 단열성에 대한 설명이 쉬워집니다.
마지막으로 부피단열재의 관류율을 계산하는 공식에 대해
간단하게, 정말 아주 간단하게
한번 설명 드리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 공식? 계산?
말만 들어도 너무너무 싫지만
예고 출신에 예대 출신인 저같이
어린시절부터 수학, 과학과는 담쌓고 지내온
사람도 할 수 있는 계산법이니
여러분들은 훨씬 더 쉽고 빠르게 하실 수 있을거라 봅니다.
부피단열재의 관류율 계산을 하려면
계산하려고 하는 단열재의 전도율과
두께를 필수적으로 알아야 합니다.
일단 우리가 흔히 쓰는
비드법보온판 EPS단열재 (스티로폼)
압출법보온판 XPS단열재 (아이소핑크)
를 가지고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드법보온판 압출법보온판 비드법보온판 EPS단열재 (스티로폼 가등급) 의 전도율 - 0.031W/mk
압출법보온판 XPS단열재 (아이소핑크) 의 전도율 - 0.027W/mk
입니다.
이 때 관류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전도율 ÷ 두께 = 관류율
이 됩니다.
비드법보온판 EPS단열재 2종1호 120T의 관류율은
0.031 ÷ 0.12 = 0.25W/㎡k
가 됩니다.
너무 간단하쥬??
다시!!
압출법보온판 XPS단열재 1호 110T의 관류율은
0.027 ÷ 0.11 = 0.24W/㎡k
가 됩니다.
진짜 완전 너무 쉽쥬??
비드법보온판 120T의 열관류율은 0.25W/㎡k
압출법보온판 110T 열관류율은 0.24W/㎡k
열관류율 수치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위에 고양이놈들 방과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거실에 열이 들어오는 양에 대한 설명을 참고 해주세욤!!)
따라서 스티로폼의 두께가 120T로
아이소핑크의 두께 110T보다 10T가 더 두껍지만
단열성능은 아이소핑크 110T가 조금 더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의 포스팅 '열관류율' 에 대해
한마디로 요약해보자면
열관류율은 '열이 관통해서 흐르는 비율' 이다.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오늘 태화단열 블로그에서
포스팅 한 내용은 평소보다 양이 많은데다
제가 필력이 조금 딸려서
가독성까지 떨어져보여 걱정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오늘도 빠이팅 넘치는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상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 알아보기 > 열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단열 / 열저항 (2) 2023.05.15 태화단열 / 열전도율 (0) 2023.05.11 태화단열 / 전도, 대류, 복사 (0) 2023.05.04 태화단열 / 빛으로부터 열이 생기는 과정 (0) 2023.05.01 자외선과 적외선 그리고 가시광선으로 이루어진 빛 (0)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