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 안정성과 전도율, 두 토끼 다 잡은 경질준불연단열재 알아보기/경질우레탄보드 2023. 8. 10. 09:04728x90반응형
반갑습니다~!!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은
경질우레탄 시리즈의 세번째 내용인
<경질준불연>
에 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질준불연에 관한 내용에 들어가기 전
준불연이피에스 편에서도 잠시 짚고 넘어갔었던
2022년 2월11일 개정 된 국토교통부고시 제 2022-84호에
대해 다시 한번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면 좋을 듯 합니다.
건물 마감재료의 화재예방 성능강화를 위하여 마감재료가 둘 이상의 재료로 제작 된 경우
마감재료 전체에 대한 실물모형시험 결과 및 각각의 재료에 대한
난연성능을 충족하여야 하도록 법규가 개정이 되었습니다.
(샌드위치 판넬 및 AL부착 단열재 등)
그래서
전도율 시험을 통해 단열성능을 인정받고
심재 준불연 성능 시험과 실화재시험까지 치루어야지만
3층이상의 외벽에 단열자재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EPS보다는
화재에 강한 경질폴리우레탄 이지만
어찌되었든 제품의 취약한 부분들을 보완 해
새로운 제품으로 업그레이드 시킨점에 대해서
다시 한번 존경과 경의를 표하는 바입니다.
경질준불연 역시
출시된지 많은 시간이 지나지 않은 제품이기에
특징 및 장, 단점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지만
출시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을 바탕으로
최대한 디테일하게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질준불연은
표면에 탄화층 피막을 입혀서 복사열을 차단하고 불이 붙지 않도록 하며
독립 기표율 90% 이상으로 발포시킨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심재를 사용해
단열성능이 우수합니다.
준불연이피에스와 마찬가지로
경질준불연 또한 2019년, 2020년경
한면준불연으로 먼저 출시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법이 개정되면서
한면 경질준불연은
내부만 사용하게끔 되어있습니다.
(내부천정 및 내부슬라브, 내부벽체, 내부바닥 등)
업그레이드 된 제품인
심재자체가 준불연으로 만들어진 경질준불연은
외부와 내부 모두 적용이 가능하게끔
개선이 되었습니다.
경질준불연은
심재 준불연 성능과 실물모형화재시험을 통과 해
강화된 화재안전기준을 만족하며
초기 열전도율이 0.020으로 상당히 낮은 편입니다.
또한 이렇게 전도율을 낮추며
낮은 두께로 열관류율 기준을 만족해
에너지 절약을 통한 경제성 확보가 가능하며
클로즈 셀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더했습니다.
그리고
아쉬운 점이었던 수분흡수율까지 낮춰서
높은 내구성을 자랑합니다.
취약한 부분이었던
가스 유해성 부분에서의 안정감과
고질적인 유독가스 문제 및 높은 수분흡수율에 대한 과제를 해결한
경질준불연.
거기다 심재자체가 준불연인 제품으로 업그레이드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열전도율까지 잡았기에 앞으로 단열재 시장에서의 기대가 큽니다.
경질우레탄 업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포스팅을 마치기 전
경질준불연의 물성에 대해 간단하게 짚어보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경동원 오늘 태화단열에서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오늘도 다들 파이팅 하시고
남은 하루 행복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상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질준불연
에 관한 포스팅은
특정 회사 및 특정 회사 제품의 홍보와 광고,
비난과 비방을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내용이 아니며,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축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과의 단열자재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비영리 포스팅 입니다.
저희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내용만을 다루기 위해 노력 하겠습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재 알아보기 > 경질우레탄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질우레탄보드 PIR 사용범위가 이렇게나 넓다고? (0) 2023.07.17 화학소재의 마당발 폴리우레탄단열재 PUR (0) 2023.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