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피에스 단열재와 외단열 미장 마감 시스템, 그 환상의 궁합단열재 알아보기/비드법보온판 2023. 6. 15. 11:10728x90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은
이피에스 단열재 시리즈의
네 번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저번 시간 포스팅 했었던 가등급 이피에스의
첫번째 내용에 이어서 두번째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화단열에서 다루었던
이피에스 단열재의 첫번째 내용에서는 주로
가등급과 나등급의
차이점, 제조과정, 단열성능에 대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오늘 2편에서는
가등급 이피에스 단열재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취약한 부분들에 대해
포스팅을 해 보려고 합니다.
가등급 이피에스 단열재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압출법 단열재와는 달리
시간에 따른 경시현상이 거의 없습니다.
*경시현상 = 단열성 저하
그리고 열을 흡수하는 흑연을 첨가해 동일기준 기존 나등급 이피에스 단열재에 비해
단열 성능이 약 20% 향상된 고효율의 단열재라
공간적인 부분 및 경제적인 부분에서 보다 향상된 에너지 및 자원 절감 효과를 주고 있으며
독립된 미세한 기포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습기 및 곰팡이 등에도
영향을 많이 받지 않습니다.
또한 나등급 이피에스 단열재와 마찬가지로
현장에서 절단이 쉽게 이루어지며
시공방법에 의한 단열성능의 오차도 적은 편입니다.
가등급은 나등급과 마찬가지로
제조가 완료 된 이후 숙성기간이 필요하다라는 것 입니다.
이러한 숙성기간 없이 제품이 바로 현장에 납품이 된 경우
휨현상 및 배부름 현상이 발생해 제품하자로 번질 수 있습니다.
또한 나등급 이피에스와 마찬가지로
화재 시 유독가스가 발생하며
흡수율이 압출법 단열재에 비해 높아 물기에 약한편입니다.
나등급 보다는 개선이 되었지만
흡수율이 약 2~4%대로 높은 편이라
수분이 흡수되면 단열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물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시공방법은 될 수 있으면 피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추후에 태화단열 온라인팀에서 다룰 내용인
외단열 미장 마감 시스템
EIFS
(Exterior Insulation Finish System)
은 이피에스 단열재와 환상적인 시너지 효과를 냈었습니다.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자면
외단열 미장 마감 시스템인
EIFS는
Edwin Horbach
라는 독일인이 발명 했습니다.
독일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당시
주택 보수 및 긴 전쟁으로 인한 자국의 피해규모를 감추려고 했었는데
작업도 간단하고 비용도 적게 들어가는 EIFS 가 안성맞춤 이었습니다.
거기다 독일의 겨울은 상당히 춥고 긴 편에 속하는데
당시 독일의 주택들은 단열재가 부착되어있지 않은
석조건물 및 벽돌건물이 대부분이었으며
전쟁 직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연료마저 부족했기에
춥고 힘들게 살아가는 독일인들에게
주택의 '단열'은 상당히 절박한 상황이었습니다.
난세에 영웅이 나타난다고
이 시기에 Edwin Horbach 는
독일의 석조건물 및 벽돌건물의 외부에 단열을 위한 방법으로
이피에스 단열재를 부착하기 시작했고
메쉬를 감고 마무리로 코트를 입혔는데
이것이 지금의
외단열 미장공법이 탄생하게 된 배경입니다.
독일과 대한민국은
이피에스 단열재와 상당히 인연이 깊은 나라로
바스프사의 원료 생산을 담당하는 기지는
독일과 우리나라에만 있습니다.
(현재 바스프는 석유로 만들 수 있는 모든 것들을 만들어 냅니다)
한편
앞선 태화단열의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이피에스는 밀도(압축강도) 에 따라 호수를 나누는데
1호~4호 까지의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습식시공으로 이피에스 단열재를 사용할 경우
1호나 2호로 작업을 하면 시공에 하자 발생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피에스 단열재 1호 및 2호는
압축이 상당히 단단하게 되어있어
미장을 하면 미장이 잘 먹지 않아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3호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하나 더!!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3호를 사용하게 되면
"이피에스 단열재의 단열성능이 많이 저하되는거 아닐까??"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비교적 최근인 2020년에 발표된 논문 내용 중
재미있는 연구자료가 있어 여러분들께 소개 해드릴려고 합니다.
논문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의 밀도와 열전도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ENBUILDINGS 기술연구소 연구소장, 공학석사 박태성 님-
-ENBUILDINGS 기술연구소 본부장, 공학석사 김경상 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공학박사 강재식 님-
논문 내용 中
이피에스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의 밀도와 열전도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이피에스 발포 폴리 스티렌 단열재 1종, 2종의
최근 3년간의 성적서를 통한 D.B 성능 분석을 진행한 결과,
1종 2~4호의 경우 해당 호수의 성능 기준 비율은 (2.8~20.1)% 로 나타났고
2종의 경우 해당 호수의 성능 기준 비율은 (23.5~35.8)% 로 나타나
1종과 2종 모두 밀도 증가에 따른 열전도율의 성능 변화에는
상관관계를 특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국내 유통되고 있는 제품을 샘플링 하여 측정한 결과
1종 경우 해당 호수의 성능 기준에 포함되는 비율은 (0~33.3)% 로 나타났고
2종 경우 해당 호수의 성능 기준에 포함되는 비율이 (8.6~34.3)% 로 나타나
1종과 2종 모두 밀도 증가에 따른
열전도율의 성능 변화에는 상관관계를 특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논문 : 비드법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의 밀도와 열전도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中 이처럼 밀도가 증가해도 단열성능의 변화를 찾기 어렵다는 연구결과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아직까지도
밀도가 더 단단한 단열재가 성능이 더 좋다고 느껴지는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오늘의 포스팅을 끝내기 전
가등급 이피에스 단열재의 물성에 대해 잠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태화단열에서 준비한 포스팅 내용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준불연 이피에스 단열재>
에 대해
포스팅 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남은 시간 힘내시고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상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피에스 단열재
에 관한 포스팅은
특정 회사 및 특정 회사 제품의 홍보와 광고,
비난과 비방을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내용이 아니며,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축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과의 단열자재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비영리 포스팅 입니다.
저희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내용만을 다루기 위해 노력 하겠습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재 알아보기 > 비드법보온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명적인 약점을 극복한 준불연EPS단열재 (0) 2023.07.10 가성비 좋은 경제단열재, 비드법보온판 (0) 2023.06.12 건축용단열재부터 아이스박스까지, 다양한 용도의 스치로폴 (2) 2023.06.08 국민 단열재라 불리는 스티로폼 (0) 2023.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