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무기질단열재의 수분 흡수 약점, 글라스울 워터프리로 맞선다단열재 알아보기/그라스울 2023. 7. 27. 09:00
안녕하세요 여러분!!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글라스울보온판의 두 번째 이야기로 장점 및 취약한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글라스울 1편에서는 제조방법 및 특징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를 진행했었습니다. 저번 내용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글라스울은 불연단열재로써 큰 메리트가 있는 제품입니다. 기타 여러 단열재들은 현재 준불연단열재로 인정받기 위해 외장재실대형안전성능기준을 통과하려고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는 반면 글라스울은 불연단열재라 실물모형화재성적서가 없어도 외벽단열재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글라스울은 유리섬유로 제조를 하는데 성형을 할 때 바인더 및 발수제가 사용됩니다. 그래서 제조를 할 때는 연기와 약간의 냄새가 나기도 하는데 제품이 만들어지고 나면 불에..
-
체급자체가 다른 헤비급의 페놀폼단열재단열재 알아보기/PF보드 2023. 7. 24. 09:11
반갑습니다 여러분!!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는 지난 의 첫 번째 내용에 이어 두번째 이야기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페놀폼단열재의 첫번 째 내용은 페놀폼의 기원과 제조방법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었는데 오늘은 특징 및 장, 단점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포스팅을 진행 할 예정입니다. 지난 시간에 말씀드렸다시피 페놀폼단열재는 현재 한국 단열재 시장의 선두주자로 가장 앞서나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비유를 하자면 기타 단열재들이 경량급 시장에서 피 터지게 그들만의 리그를 펼치고 있는 반면 페놀폼단열재는 헤비급으로써 시장자체가 다르며 현재 국내 건축용단열재 업계에서는 가히 적수가 없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페놀폼단열재는 열전도율이 0..
-
클로즈 셀로 인해 울고 웃는 XPS단열재단열재 알아보기/압출법보온판 2023. 7. 20. 09:16
반갑습니다!!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은 지난 의 첫번째 포스팅에 이어 두번째 이야기를 진행 하려고 합니다. 지번 포스팅에서 XPS단열재가 습기 및 물기에 강한 이유와 그에 따른 논문, 그리고 EPS와의 차이점 등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포스팅을 진행 했었습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포스팅 주제는 XPS단열재의 특징 및 장점과 취약한 부분들, 그리고 물성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XPS단열재는 장점이 굉장히 많은 고성능 단열재 입니다. 많은 장점들에 대해 태화단열에서 간략하게 정리를 해봤습니다. [높은 단열성] XPS단열재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 중 하나는 높은 단열성능을 들 수가 있습니다. 같은 밀도의 EPS보다 XPS의 단열 성능이 더 뛰어 나기 때문에 벽체두께를 줄이거나 혹은 동..
-
경질우레탄보드 PIR 사용범위가 이렇게나 넓다고?단열재 알아보기/경질우레탄보드 2023. 7. 17. 08:53
반갑습니다 여러분!!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은 다시 우레탄시리즈로 돌아와서 경질우레탄보드 (PIR) 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진행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질우레탄보드 PUR 편에서는 우레탄의 정의와 종류, 단열성능 및 특징에 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오늘은 PIR의 특징과 PUR 과의 차이점, 그리고 장점 및 취약한 부분들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본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 경질우레탄보드 PUR과 PIR의 차이점에 대해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경질우레탄보드의 사용부위는 지붕재, 저수용, 충진용, 저온용, 방염용, 판넬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이 되며 우레탄계열과 수지계열로 분류가 됩니다. (흔히 시장에서는 경질폼과 연질폼으로도 분류를 하는데 본질적으로 모..
-
일반인들은 절대 알 수 없는 미묘한 차이점의 열반사단열재단열재 알아보기/열반사단열재 2023. 7. 13. 09:09
반갑습니다!!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는 지난 열반사시리즈 1편에 이어 의 두번째 이야기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태화단열의 열반사단열재 시리즈 첫번째 이야기에서는 반사단열의 원리 및 예시, 기원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이야기를 진행했었는데 오늘 두번째 이야기에서는 특징 및 제품구조에 대해 디테일하게 이야기 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한라대학교 건축학부 권영철 교수님께서 작성하신 논문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 반사단열재는 1804년 밝은 금속표면을 이용한 반사단열재 특허를 획득 후, 1903년 알루미늄 표면의 반사단열재가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본격적인 단열재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Bynum, 2001) 반사단열재의 주요 작용은 열린 공간을 통과하는 복사..
-
치명적인 약점을 극복한 준불연EPS단열재단열재 알아보기/비드법보온판 2023. 7. 10. 09:54
반갑습니다 여러분!!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은 EPS 시리즈의 다섯번째 이야기로 에 관한 내용으로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 전 잠깐 준불연 성능 기준에 관한 내용에 대해 짚어보고 본 내용으로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건축법 개정으로 인해 3층 이상 or 9m 이상의 건축물 모든 필로티 구조의 외기에 면하는 천장 및 벽체 의료시설 및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연면적 2000㎡ 이상의 상업지역 에는 외벽에 불연 및 준불연 재료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사실은 너무나 잘 알고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잘 아시다시피 2022년 2월11일 기점으로 외장재 실대형 안전 성능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자재는 현장에서 준불연단열재로 사용이 불가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2022-8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