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연열반사단열재' 로 알아보는 난연 등급단열재 알아보기/열반사단열재 2024. 10. 22. 09:07728x90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건축용단열재 전문기업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는
현재 국내 단열재 시장에서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는
<불연열반사단열재>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도 잘 아시다시피
열반사단열재라 하면
폴리에틸렌 PE폼에 알루미늄 은박이 붙어져 있으며
롤 형태이기 때문에 운송과 보관이 편리해
많은 분들께 사랑을 받고 있는 단열재 입니다.
또한 열반사단열재는
타공제품과 접착제품으로 분류가 되는데
특히 접착제품은
스티커만 벗겨내면 간단히 부착이 가능해서
남녀노소 누구나가 손쉽게 시공을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장점이 많은 열반사단열재도
필수적으로 아쉬운 부분들이 존재하는데요.
그 중 가장 큰 아쉬운 부분으로 꼽혔던 지점은
바로 사용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지점입니다.
열반사단열재는 현재도 내부보강단열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창고 및 축사, 막사 등에도 사용이 되지만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외벽에는 사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저방사복합단열재 및 기타 두꺼운 부피단열재로 대체를 해야만 합니다.
그러나 최근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사용범위가 제한적이었던 열반사단열재의 약점을 커버할 수 있는
불연열반사단열재가 출시되었다는 소식 입니다.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불연열반사단열재에 관한 포스팅 역시
시리즈 별로 진행하면서
조금 더 디테일하고 깊이 있는 내용들로
여러분들과 함께 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불연열반사단열재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
먼저 난연 등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판매장에서 업무를 보다보면
아직도
"난연 스티로폼 주세요"
라는 문의를 상당히 많이 받곤 합니다.
사실 업계에 종사자 분들이 아니라면
난연, 준불연, 불연에 대한 부분이
조금 헷갈리실 수도 있다고 느껴집니다.
불연재, 준불연재, 난연재는
재료가 불에 얼마나 잘 안타는지,
불길에 얼마만큼의 맷집이 있는지에 따라
규정된 기준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오늘의 주제인
불연열반사단열재로 알아보는 난연등급.
불연, 준불연, 난연 등급에 대해
자세히 분류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통 시험명 - KS F 2271 (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공통 성능기준 - 시험 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
<불연재>
불에 가장 강한 자재로
가열시험이 시작된 후 20분간 가열로 내 최고온도가
최종평형온도를 20K 초과 상승하지 않으면서
가열종류 후 시험체 질량 감소율이 30% 이하의
성능을 갖춘 재료를 말합니다.
불연재의 주요재료로는
콘크리트 및 석재, 벽돌, 철강, 유리, 알루미늄, 회 (두께 24mm이상),
그리고 시멘트판류 (섬유시멘트판, 석고시멘트판, 압출시멘트판 등)
이 해당되며
불연 단열재의 종류로는
이번 시리즈의 주인공인 불연열반사단열재를 비롯해
대표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그라스울 단열재, 미네랄울 단열재가 있으며
그 외 세라믹울, 진공단열재, 펄라이트 단열재, 에어로젤 단열재, 헴프울 단열재와
미네랄울의 사촌격인
버미큘라이트 단열재, 바잘트섬유 단열재
그리고
그라스울의 사촌격인
폼글라스 단열재를 들 수 있겠습니다.
<준불연재>
'불연에 준한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가열시험이 시작된 후
10분간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
10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지 않고,
10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이나 구멍 및 용융
(복합자재의 경우 심재가 전부 용융되거나 소멸되지 않아야 함)
등이 없는 재료를 말합니다.
준불연재의 주요재료로는
석고보드, 인조대리석, 펄프시멘트판, 미네랄텍스 등이 있으며
준불연 단열재의 종류로는
저번 시간 포스팅 했었던 심재 준불연 저방사복합단열재 외
여러분들도 잘 아시는 PF보드, 심재 준불연 경질우레탄보드, 심재 준불연 EPS 등이 있습니다.
<난연재>
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써
가열시험이 시작 된 후
5분간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
5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지 않고,
5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는 재료를 말합니다.
(복합자재의 경우 심재 포함)
난연재의 주요재료로는
난연합판, 난연플라스틱판 등이 있으며
난연 단열재의 종류로는
붕소계약품으로 방염처리가 되어 있는 셀룰로오스 단열재와
(준불연 등급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온에 장시간 방치하면 분해가 시작되어 탄화되는 양모단열재
(600℃까지 버티는 제품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가 대표적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불연재, 준불연재, 난연재
세가지 등급에 대한 분류를 해보았는데
불연열반사단열재를 비롯한 기타 여러 불연단열재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심재준불연 적합시험과 실물모형시힘이 필요 없으며
불연성능적합 성적서만 있으면 외벽에 사용이 가능한 점 입니다.
물론 외벽 마감재가 석재, 강판 등과 같이
불연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지만
까다로운 심재준불연 적합시험 및 실물모형화재시험을
패쓰할 수 있다는 점은 상당히 매력적인 장점이라 느껴집니다.
(마감재와 단열재가 불연이면 실물모형시험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ex. 불연열반사단열재 + 화강석 마감
오늘 저희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불연열반사단열재에 관한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불연재, 준불연재, 난연재에 대한 개념부터 정리를 해봤는데
오늘 포스팅 내용을 잘 읽어보신다면
추후 포스팅 할 불연열반사단열재에 관한 이야기들이
훨씬 더 수월하게 이해되실거라 느껴집니다.
저희는 다음시간
불연열반사단열재에 관한 두번째 내용으로
다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건축용단열재 전문기업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불연열반사단열재
에 관한 포스팅은
특정 회사 및 특정 회사 제품의 홍보과 광고,
비난과 비방을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내용이 아니며,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축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과의
단열자재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포스팅입니다.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내용만을 다루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재 알아보기 > 열반사단열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연 열반사단열재, 미네랄울과 은박필름의 콜라보로 불연성과 단열성 두 토끼 모두 잡다 (3) 2024.10.25 불연 열반사 단열재, 불연단열재 대표자리를 노린다 (2) 2024.10.23 팩트체크, 편견과 오해의 열반사 단열재 (0) 2023.08.07 일반인들은 절대 알 수 없는 미묘한 차이점의 열반사단열재 (0) 2023.07.13 생각보다 깊이 들어와 있는 일상속의 은박단열재 (0) 202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