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연 열반사 단열재, 불연단열재 대표자리를 노린다단열재 알아보기/열반사단열재 2024. 10. 23. 07:30728x90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건축용단열재 전문기업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은 지난시간에 이어
<불연 열반사 단열재>
두번째 이야기를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지난 시간 태화단열 블로그에서 포스팅 했었던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첫번째 이야기에서는
불연등급과 준불연등급, 그리고 난연등급에 대해 자세히 분류를 하면서
불연단열재가 가질 수 있는 장점까지 설명을 드렸었습니다.
오늘 불연 열반사 단열재 두번째 이야기에서는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제품소개와 특징 및 장, 단점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께서 잘 아시는 기존의 열반사단열재는
기본적으로 PE폼에 은박필름을 더한 형태로
현장에서 자주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오늘 여러분들께 소개해드릴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열반사단열재의 심재로 쓰이던 PE폼 대신
불연단열재가 심재로 사용되는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현재 시중에서 보이고 있는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심재가
미네랄울로 제조되는 방식과
세라믹단열재로 제조되는 방식
으로 나누어 진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심재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는
기존 열반사단열재와 동일하게 은박으로 둘러싸여져 있습니다.
미네랄울로 만들어지는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세라믹단열재보다 밀도가 더 높기 때문에
(약 80K이상의 미네랄울을 심재로 사용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시공 시 튼튼하면서도 묵직함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스너 고정 시
세라믹단열재 계열의 불연 열반사 단열재보다
훨씬 더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며
현장에서 커터칼이나 톱으로도 쉽게 절단이 되는 부분은
미네랄울 계열의 불연 열반사 단열재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네랄울 및 그라스울 등 무기질섬유단열재가 가지고 있는
절단 시 분진이 발생되는 특유의 단점은
미네랄울 계열의 불연 열반사단열재가 가지고 있는
아쉬운 부분과도 직결이 된다라고 보실 수 있겠습니다.
반대로 세라믹단열재로 만들어지는 불연 열반사단열재는
미네랄울 계열의 불연 열반사단열재에 비해
묵직함이 떨어져
만졌을 때 약간 흐물거린다, 혹은 꿀렁거린다
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며
실제 시공을 하시는 분들께 들은바로는
화스너 고정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세라믹단열재 계열의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미네랄울 계열의 불연 열반사 단열재와는 달리
유연하면서 칼이나 톱으로도 절단이 쉬우며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미네랄울과 세라믹단열재로
불연단열재가 심재로 쓰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심재가 어떤 단열재로 쓰이느냐에 따라
장, 단점이 뚜렷하게 나타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화단열산업에서 제조하고 있는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미네랄울을 심재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 나열하는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특징은
미네랄울 계열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항상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는 제품소개를 할 때
한 문장으로 제품 정의를 해왔었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 역시 마찬가지로 한 문장으로 정의 해보자면
'불연단열재와 은박필름의 콜라보로 화재안정성과 단열성능 모두 잡은 불연 열반사 단열재'
라 할 수 있겠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첫번 째 장점으로는
너무나 당연하게도
심재로 사용되고 있는
불연재질의 미네랄울과 불연성의 은박필름,
이 두가지 재료의 콜라보로
방화성을 극대화 시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따라서 화재 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뚜렷한 장점이 있습니다.
두번 째 장점으로는
뛰어난 단열효과를 들 수 있겠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은박필름이 복사열을 1차적으로 차단해주며
미네랄울의 얇고 일정한 섬유 사이에 있는 미세한 공기층이
전도열을 2차 차단해 단열성이 뛰어납니다.
자연스럽게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세번 째 장점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이
바로 경제성을 들 수 있겠습니다.
두께가 얇기 때문에
동일 단열성능을 지니고 있는 부피단열재에 비해
재료비가 저렴해집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네번 째 장점으로는
단열성능이 뛰어나 얇은 두께로도 외벽에 적용이 가능하다라는 장점의
또 다른 연장선으로 볼 수 있는데
바로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는 점 입니다.
다섯번째 장점으로는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산화방지 및 부식방지 기능을 첨가해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도
반영구적으로 기존 제품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시현상을 늦출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경시현상 =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현상)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여섯번째 장점으로는
친환경성을 들 수 있겠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열접착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화학본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없는 친환경 단열재라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기존 열반사단열재 및 저방사복합단열재와 마찬가지로
열반사단열재 전용 은박테이프를 활용한
기밀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열교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부분이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일곱번째 장점으로 꼽을 수 있겠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마지막 여덟번째 장점으로는
기타 불연단열재 대비 (그라스울 및 미네랄울)
시공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에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습니다.
현장에서의 시간은 즉, '비용' 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은
소비자 분들께 큰 메리트로 느껴질 수 있을 듯 합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장점들에 대해 쭉 나열해봤는데
이렇게 장점이 많은 불연 열반사 단열재 역시
필수적으로 아쉬운 부분들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첫 번째 아쉬운 부분은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절단 시 분진이 발생한다'
라는 부분 입니다.
미네랄울 뿐만이 아니라
그라스울 및 헴프울단열재, 양모단열재 등
울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단열재는
절단 시 분진발생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심재를 미네랄울로 사용하는
불연 열반사 단열재 역시
절단 시 분진이 발생하는 부분은
아쉬운 지점이라 보실 수 있겠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두번 째 아쉬운 부분은
심재 준불연 저방사복합단열재와 마찬가지로
'무거워진 무게'
라고 보실 수 있겠습니다.
80K 이상의 미네랄울이 심재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가볍고 시공성이 용이한
기존의 폴리에틸렌폼을 심재로 사용하는 열반사단열재와는 달리
확실히 묵직하고 무거운 느낌이 있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세번 째 아쉬운 부분으로는
저방사단열재 및 열반사단열재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혔던
'롤 형태의 모습을 유지할 수 없다'
는 부분입니다.
롤 형식의 장점은
유통 과정이 편리하고
현장 및 창고에 보관이 용이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기존의 열반사단열재를 구성하던
폴리에틸렌폼은 가벼우면서도 유연하기 때문에
롤 형태로 감아 포장까지도 가능했지만
폴리에틸렌에 비해 유연성이 떨어지는 미네랄울은
롤 형태로 감는 공정이 불가능한 상황 입니다.
그렇다면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어떤 형태로 만들어질까요?
바로 일반 부피단열재처럼 판상형의 모습을 갖추고 있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현재 40T와 50T
두가지 두께로 만들어지는데
가로 세로 싸이즈는
1000*1000
이며 한 장에 1㎡
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가 판상형의 모습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일반 부피단열재와는 달리
'취성파괴'
가 일어나지 않는 부분은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큰 장점 중 하나로 볼 수 있겠습니다.
(취성파괴 = 재료가 소성 변형 없이 일으키는 파괴, 예를 들어 유리가 깨지듯 단번에 일어나는 파괴)
그 외
심재준불연 저방사복합단열재의 아쉬운 부분과도 동일하게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기존의 열반사단열재와는 달리
'접착 제품'
이 없다는 부분과
시공 후 필수적으로 중공층을 확보해야 하는 부분 및
은박필름 훼손 시 은박필름의 표면 방사율이 높아져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부분,
그리고 습식시공(드라이비트 작업) 이 불가한 점은
기존의 열반사단열재가 가지고 있던 아쉬운 부분들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태화단열에서 준비한
불연 열반사 단열재에 관한 두 번째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사실 불연 열반사 단열재는
심재를 어떤 재료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제품의 특징과 장, 단점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는 단열재라 보실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미네랄울과 세라믹단열재를 심재로 사용하고 있는
불연 열반사단열재에 대해서만 말씀을 드렸었는데
심재를 그라스울로 사용해도, 에어로젤 단열재로 사용해도
비슷한 원리로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성능을 낼 수 있을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단열성능과 원자재 가격, 수급 문제, 비교적 수월한 제조 공정 등
다양한 각도에서 여러 계산을 해봤을 때
미네랄울을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심재로 사용하는 것이
현재는 가장 베스트라 생각이 듭니다.
돌아오는 불연 열반사 단열재 시리즈 3편에서는
불연 열반사 단열재의 단열 원리와 시공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는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오늘도 다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건축용단열재 전문기업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불연 열반사 단열재
에 관한 포스팅은
특정 회사 및 특정 회사 제품의 홍보와 광고,
비난과 비방을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내용이 아니며,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축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과의
단열자재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포스팅 입니다.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내용만을 다루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재 알아보기 > 열반사단열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연 열반사단열재, 미네랄울과 은박필름의 콜라보로 불연성과 단열성 두 토끼 모두 잡다 (3) 2024.10.25 '불연열반사단열재' 로 알아보는 난연 등급 (2) 2024.10.22 팩트체크, 편견과 오해의 열반사 단열재 (0) 2023.08.07 일반인들은 절대 알 수 없는 미묘한 차이점의 열반사단열재 (0) 2023.07.13 생각보다 깊이 들어와 있는 일상속의 은박단열재 (0) 202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