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인들은 절대 알 수 없는 미묘한 차이점의 열반사단열재단열재 알아보기/열반사단열재 2023. 7. 13. 09:09728x90반응형
반갑습니다!!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는
지난 열반사시리즈 1편에 이어
<열반사단열재>
의 두번째 이야기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태화단열의 열반사단열재 시리즈 첫번째 이야기에서는
반사단열의 원리 및 예시, 기원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이야기를 진행했었는데
오늘 두번째 이야기에서는
특징 및 제품구조에 대해
디테일하게 이야기 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한라대학교 건축학부 권영철 교수님께서
작성하신 논문에서 가져온 내용입니다.
반사단열재는 1804년 밝은 금속표면을 이용한 반사단열재 특허를 획득 후,
1903년 알루미늄 표면의 반사단열재가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본격적인 단열재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Bynum, 2001)
반사단열재의 주요 작용은 열린 공간을 통과하는
복사열 전달을 감소시키는 것 입니다.
이러한 복사열은 여름철 열증가와 겨울철 열손실의 주원인 입니다.
저방사율 금속박판(주로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반사단열재의 표면은 열전달의 주요인인 방사현상에 의한
열전달을 최고 97%까지 차단합니다.
-한라대학교 건축학부 권영철 교수님-
생각보다 열반사단열재의 기원이
오래되었다는 점이 놀라웠습니다.
열반사단열재의 가장 큰 장점은
1. 당연하게도 열반사 기능을 들 수 있습니다.
열반사 기능으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효과로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고 있어
냉,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편리한 시공을 꼽을 수 있습니다.
기존 부피단열재에 비해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연질이라 시공 시 휘어져 있는 코너 부분 및 각진 부분도 시공이 용이 합니다.
3. 부피절감을 통한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제품 경량화로 인해 보관이 쉽고
현장에서 공간 활용을 최대화 할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4. 친환경성을 들 수 있습니다.
열접착 방식으로 생산한 제품이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없습니다.
5. 경제성을 들 수 있습니다.
타 단열재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경제성을 확보 할 수 있습니다.
열반사단열재는
제조업체마다 상이하겠지만
대체적으로 5mm 부터 13mm, 15mm 등
다양한 두께를 가지고 있습니다.
열반사단열재 두께비교예시 또한
은박이 한쪽면만 부착이 되어있는 단면제품과
은박이 양쪽면으로 부착이 되어있는 양면제품으로 생산이 되기도 하는데
은박 단면 부착제품과 은박 양면 부착제품은
은박 구성의 차이 때문에 단열성능에서 당연히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열반사단열재 단면은박제품 열반사단열재 양면은박제품 그리고
한쪽면에 접착 코팅이 없는 제품과
한쪽면에 접착 코팅이 있는 제품으로도 생산이 가능한데
접착 코팅이 있는 제품의 경우
스티커처럼 비닐만 제거하면 바로 부착이 가능한 제품으로 출시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접착제품의 경우
누구나가 직접 시공이 가능하다라는 장점이 있으며
접착 코팅이 없는 제품과 접착 코팅이 있는 제품의 경우
구성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단열성능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열반사단열재는 간단하게 말씀드려
Polyethylene 발포 수지 위에
은박을 접착 해 제조 합니다.
Polyethylene은 Pet라 불리우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플라스택 생수 페트병처럼 투명하고 가볍습니다.
독성에도 안전해 다시 재활용되어 분리수거 대상이 되며,
가교 PE는 롤형식의 제품 입니다.
PE폼은
고밀도의 가교와
저밀도의 무가교로 나누어 집니다.
왼쪽 : 고밀도 가교 & 오른쪽 : 저밀도 무가교 가교는
내구성이 뛰어나 단단하고 단열성이 좋습니다.
반영구적이라 시간의 경과에도
부식되지 않은 상태로 단열효과 또한 지속되고
내열성도 뛰어나 80℃ 이상의 열기에도 버텨내며
수분에 강해 흡수성이 거의 없습니다.
무가교는
가교에 비해 저렴하지만
내구성이 떨어져 시간이 조금만 경과하게 되면
부식현상이 발생해 삭아버리기 시작합니다.
자연스럽게 강도가 약해지면서 단열성능도 함께 떨어지며
내열성이 낮아 60℃ 이상에서는 녹아버립니다.
결론적으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자주 교체해줘야 하니
장기적으로 봤을 땐 결국 가교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집니다.
결론적으로 열반사단열재는 너무나 당연하게도
무가교PE폼이 아닌
가교PE폼과 은박 알루미늄을 접착해야지만
성능이 더 뛰어납니다.
위의 사진은
가교와 무가교로 제조한 열반사단열재의
차이를 비교하는 사진입니다.
자세히 보면 조금씩 차이가 느껴지실거고
만지거나 들어봤을 때는 확실하게 차이가 납니다.
오늘 다루었던 내용인
열반사단열재의 장점과
단면과 양면, 접착과 비접착의 차이
그리고
가장 중요한
가교와 무가교로
제조한 제품의 차이점!!
잘 이해하셨을거라 생각하며
오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돌아오는 열반사시리즈 세 번째 이야기에서는
열반사단열재의 취약한 부분들과
주의사항 등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오늘 하루도 다들 빠이팅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이상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열반사단열재
에 관한 포스팅은
특정 회사 및 특정 회사 제품의 홍보와 광고,
비난과 비방을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내용이 아니며,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축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과의 단열자재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비영리 포스팅 입니다.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내용만을 다루기 위해 노력 하겠습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재 알아보기 > 열반사단열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연 열반사단열재, 미네랄울과 은박필름의 콜라보로 불연성과 단열성 두 토끼 모두 잡다 (3) 2024.10.25 불연 열반사 단열재, 불연단열재 대표자리를 노린다 (2) 2024.10.23 '불연열반사단열재' 로 알아보는 난연 등급 (2) 2024.10.22 팩트체크, 편견과 오해의 열반사 단열재 (0) 2023.08.07 생각보다 깊이 들어와 있는 일상속의 은박단열재 (0) 202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