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화단열 / 불연재, 준불연재, 난연재단열 알아보기/단열이란?? 2023. 5. 25. 22:00728x90반응형
반갑습니다!!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는
지난 시간에 미리 말씀드린대로
<불연재, 준불연재, 난연재>
에 관한 주제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태화단열 온라인팀 에서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의
정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불연재료 -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10분 이상 열을 가해도 발화 연소되지 않는 자재)
준불연재료 -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열을 가해도 잔 불씨가 생기지 않지만 연소시에 가스가 발생)
난연재료 -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내장재에 난연 기능을 추가 및 특수처리를 해서 느리게 연소)
입니다.
난연성능의 차이는
불연재 = 난연 1급
준불연재 = 난연 2급
난연재 = 난연 3급
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불에 가장 강한 재료는 불연재이며
등급이 낮아질수록 불에 약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최근 크고 작은 화재들로 인해 많은 사상자들이 속출하게 되었는데
건물내벽에 들어가 있는 화재에 취약한 단열재들이
화재를 더 키웠다라는 기사들이 속출했었습니다.
요즘은 단열재에 관한 법이
굉장히 많이 강화되어서
하나. 3층이상 또는 높이 9m 이상의 건축물
둘. 모든 필로티 구조의 외기에 면하는 천장 및 벽체
셋.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층수제한없음)
넷. 연면적 2000㎡ 이상 상업지역
에 하나라도 해당이 된다면
외벽에 불연 및 준불연 재료 사용 의무에 해당됩니다.
또한 최근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 성능 기준을 살펴보면
기존 노출면 1면의 열방출 시험에서
노출되는 면과 비노출되는 면, 측면 1면 등
총 6면 심재 준불연 성능 시험 (열방출 시험, 가스유해성 시험) 을
통과해야 한다라는 기준으로
법이 개정이 되었으며
거기다
외장재 실대형 화재 안전 성능 기준까지도
통과해야해서
단열재 사용규정이 더욱 까다로워졌습니다.
*외장재 실대형 화재 안전 성능 기준이란??
외장 마감재와 단열재를 8m 높이로 시공 후
화원으로 사용되는 목재에 불을 붙여 30분간 가열해
상단 5m지점 온도가 30초동안 60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불연재는 말 그대로 불이 붙지 않는 재료를 말합니다.
석재 및 쇠, 철, 알루미늄, 콘크리트 등이 불연재이며
불연단열재로는 그라스울과 미네랄울이 있습니다.
그라스울 미네랄울 준불연재는 불연재와 마찬가지로
불씨가 붙지는 않지만 연소시에 가스가 발생할 수 있어서
불연재보다는 한 등급 아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인조대리석이나 석고보드 등이 준불연재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준불연단열재로는 저방사단열재, 비드법보온판, 페놀폼단열재, 경질우레탄보드단열재
등이 있습니다.
석고보드 경질우레탄보드단열재 비드법보온판(심재준불연) 저방사단열재 페놀폼단열재 난연재는 난연기능이 더해진 제품이라고 볼 수 있는데
불에는 타지만 연소를 늦추기 위해 약품이나 특수처리를 해서 연소되는 시간을 늦추며
연소시 가스발생율도 많이 감소시켰다고 보시면 됩니다.
난연플라스틱이나 난연합판, 난연판넬 등이 난연재에 속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난연합판 단열재 하나만 놓고 봤을 때
불연재라고 해서 준불연재나 난연재보다 무조건 우수하다
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불연재같은 경우 열전도율이 떨어진다라는 점 때문에
오히려 에너지를 절감하는데는 손실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추가로 하나 더!!
불연, 준불연, 난연 밑의 화재 안전 기준으로
<방염>
이 있습니다.
방염이라 함은 사전적 의미로는
'목질재료나 플라스틱 등에 대해 착화하기 어렵고 연소속도를 늦추는 처리, 또는 그 효과'
를 말합니다.
출처 : 건축용어 사전
방염처리는 위의 사전적 의미에서도 나와있다시피
불이 붙는 '속도' 를 지연시키는 것이지
완전히 불이 붙지 않게끔 하는 것이 아닙니다.
커튼이나 이불 등 일반적으로 불에 쉽게 연소되는 제품이
불에 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해주는 것이 방염처리라 보시면 됩니다.
최근 화재 참사로 화재에 강한 자재에 관심이 늘었지만
정작 불연, 준불연, 난연, 방염 등 용어에 대한 이해도는 아직 낮은편이라 생각이 됩니다.
단열재업계만 하더라도
불연, 준불연, 난연 등 화재에 강하다는 의미라는 것 정도는 이해를 하지만
디테일하게 알고 계시는 분들은 아직 드물다고 느껴집니다.
오늘 포스팅을 하면서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역시도
난연등급에 대해 더 명확하게 정리를 할 수 있어 좋았던 시간이었고
여러분들과 함께 공유 할 수 있어서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오늘의 태화단열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요일 다들 힘내시고
남은 하루도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이상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 알아보기 > 단열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질단열재, 더 이상 화재에 약한 단열재가 아니다 (2) 2024.01.15 공기층이 주택단열에 끼치는 영향 (2) 2024.01.11 태화단열 / 저항형단열재, 반사형단열재, 용량형단열재 (0) 2023.05.29 공기층, 반사원리, 진공상태 각자 개성이 다른 단열방식 (0) 2023.05.22 단열의 목적과 좋은 단열재를 고르는 열 가지 기준 (2) 2023.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