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 이동 잡는 단열경찰, 저방사단열재단열재 알아보기/저방사복합단열재 2023. 8. 31. 08:57728x90반응형
반갑습니다 여러분!!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은
<저방사단열재>
에 관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진행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늘 그렇듯이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저방사단열재 또한 시리즈 별로 이야기를 구성해
조금 더 디테일하게
내용을 전달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방사'
란
물체로부터 공간을 통해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저방사단열재의 외표면에는
방사율이 낮은 알루미늄 박막 필름이 형성되 있어
1차적으로 복사열을 차단시킵니다.
그리고 그 속에는
독립된 벌집 모양의 밀폐 공기층 (셀) 이 있어
전도열 및 대류열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반사단열재의 반사층 (AL Foil)은 양쪽 면이
공기층으로 형성이 되어 있어야 95% 이상의 복사열 차단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열반사단열재는 알루미늄 박막 필름을 이용해
복사열 차단을 목적으로 개발된 제품인데
표면은 반사층으로 하고
이면에는 부직포 등이 부착 되어 있어서
한쪽면만 공기층에 면해 성능이 반감 되기도 했습니다.
저방사단열재는 기존 반사단열 원리는 그대로 이용함과 동시에
단열재 내부에 별도의 공기층을 확보해
열반사의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보완한 제품으로 출시 되었습니다.
그래서 태화단열 온라인팀에서는 저방사단열재를
"기존 부피단열재의 장점과 열반사의 장점이 어우러진 슈퍼 단열재"
라 부를 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시중에 저방사단열재가 처음 나왔을 때
'내부에 저렇게 구멍이 뚫려있는 단열재가 어떻게 단열효과를 낼 수 있나??'
하고 의구심을 품는 분들이 많이 계셨는데
단열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정지된 공기는 최고의 단열재 중 하나인 원리를 이용한 것 입니다.
추후
'정지되어 있는 공기'
에 대한 내용도
포스팅 하겠지만 여기서 잠깐 내용을 풀어보자면
정지공기는 상온의
20℃ 에서는 0.0267 W/m.k
0℃ 에서는 0.0251 W/m.k
100℃ 에서는 0.031 W/m.k
밀폐된 상태에서는 0.023 W/m.k
로 단열성능이 매우 뛰어 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방사단열재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밀폐된 공기층이
단열 성능을 더 높여 주게 되는 것 입니다.
저방사단열재는
알루미늄 박막 필름과 폴리에틸렌폼이 결합해 있는 형태이며
열이나 본드를 이용해 접착을 하나 대체적으로 열을 사용합니다.
다음은
<저방사박막복합단열재 설계인자에 따른 벽체 단열성능 예측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발췌 한 내용 입니다.
저방사단열재 개요
1. 저방사박막필름
일반 부피 단열재는 열전도 차단을 통해 단열성능을 구현하는데 반면,
저방사단열재는 표면 저방사 박막을 통해 고반사, 저방사 특성으로 복사열을
최대 95% 이상 차단하는 특성이 있다.
저방사단열재 제조에 사용되는 저방사 박막 필름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일반 알루미늄 필름과
산화 방지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산화 방지 및 UV 안정제 코팅 공정을 거친 코팅 필름으로 나뉜다.
2. 폴리에틸렌 폼
저방사단열재에 적용되는 폴리에틸렌 폼은 유기화합물의 합성수지를 주로 사용한다.
폴리에틸렌 폼의 주요 성분으로는 수지(Resin)가 약 7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발포제, 가교제, 안정제 등이 배합되어 제조된다.
또한 화재 안전성을 위해 난연제를 첨가하는 형태로도 제작된다.
폴리에틸렌 폼의 경우 그 배합비와 제조 방식에 따라 단열성능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0.035 ~ 0.040 W/m.k의 열전도율을 가진다.
(중략)
이러한 폴리에틸렌 폼 층을 다층 형태로 중첩하여,
열저항 성능을 높인다.
저방사단열재는
제조업체마다 상이하나 대체적으로
20T부터 시작해 100T, 120T까지
다양한 두께로 생산이 됩니다.
열반사와는 다르게
은박이 한쪽면만 부착이 되어있는 단면제품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은박이 양쪽면으로 부착이 되어있는 양면제품으로만 생산이 됩니다.
기존 열반사와 동일한 부분은
한쪽면에 접착 코팅이 없는 제품과
한쪽면에 접착 코팅이 있는 제품
두 종류로 생산이 가능하며
스티커처럼 비닐만 제거하면 바로 부착이 가능한
롤 형식의 제품으로 제조 됩니다.
한편
두께가 두꺼운 80T는 롤 형식으로 감기가 힘들기 때문에
1000*2000 등의 싸이즈로 평판제작이 되기도 하며
100T 제품의 경우 50T 제품 두개를 겹침시공 하기도 합니다.
열반사단열재와 마찬가지로
접착 코팅이 없는 제품과 접착 코팅이 있는 제품 모두
구성의 차이가 없기에 단열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 주로 다루었던 내용은
기존 열반사 제품이
'저방사단열재' 로 어떻게 업그레이드 되었는지와
제품 규격 및 싸이즈에 관한 부분을 다루어 봤습니다.
돌아오는
저방사단열재 시리즈 2편에서는
특징과 장점, 그리고 취약한 지점 등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늘 말씀드리다시피
오늘도 다들 힘내시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상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져서 감사합니다!!
*저방사단열재
에 관한 포스팅은
특정 회사 및 특정 회사 제품의 홍보와 광고,
비난과 비방을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내용이 아니며,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축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과의 단열자재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비영리 포스팅 입니다.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내용만을 다루기 위해 노력 하겠습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재 알아보기 > 저방사복합단열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재 준불연 저방사복합단열재, 과연 외벽단열에 효과가 있을까? (3) 2024.10.26 태화단열산업의 심재 준불연 저방사단열재 (0) 2024.10.24 외단열에 적합한 심재준불연 저방사단열재, 의무사용 규정은? (2) 2024.10.21 다층반사형단열재라 불리는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의 모든 것 (2) 2023.10.19 단열깡패, 저방사 복합 단열재 취조 들어갑니다 (0) 2023.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