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열깡패, 저방사 복합 단열재 취조 들어갑니다단열재 알아보기/저방사복합단열재 2023. 9. 25. 08:50728x90반응형
반갑습니다 여러분!!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입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 포스팅 할 내용은
<저방사 복합 단열재>
의 두번째 이야기 입니다.
태화단열 블로그에서 진행했었던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첫 번째 이야기에서는
저방사의 원리 및 제품의 규격
등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포스팅을 진행 했었는데
오늘 두 번째 이야기에서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특징 및 장점,
그리고 취약한 부분들
위주로 포스팅을 진행 해보겠습니다.
먼저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장점으로
첫 번째는
지난 시간에 말씀드린대로
저방사 원리를 들 수 있겠습니다.
열방출 저하 기능 및 고반사 기능을 통한
복사열 차단이 대표적인 장점이라 보실 수 있겠습니다.
두 번째는
기존의 부피단열재에 비해 훨씬 얇은 두께로
지역별 건축물 부위 열관류율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연질이라 시공 시 휘어져 있는 코너 부분까지도
시공이 용이하며
네 번째는
제품이 경량화 되다보니
시공시간도 훨씬 단축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섯 번째로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본드나 화학제품으로 접착을 하는 방식 대신
열로 접착 한 제품이다 보니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없는 친환경 제품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여섯 번째로
산화 방지 및 부식 방지 기능을 첨가했기 때문에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오랜 세월이 지나도 반영구적으로
기존 제품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해
단열성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일곱 번째로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열반사 단열재 전용 테이프로
기밀 시공이 가능하다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떤 좋은 단열재를 사용하더라도
시공이 올바르지 못하다면 단열재 고유의
성능을 좋은 컨디션으로 끌어 내기가 힘들어
단열자재의 본질적 목적인 건물단열을 충분히
만족시키기가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여덟 번째로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커터칼이나 산업용칼로도
현장에서 얼마든지 제단이 가능하기에
폐기물 발생량 또한 줄일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홉 번째로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AL Foil 및 폴리에틸렌이
투습저항성이 높아 습기 때문에 단열성의 감소가 없으며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점이 장점으로 꼽힙니다.
마지막 열 번째로
외장재로서의 단열성능 (관류율 성적) 이 뛰어나
비드법보온판 대비 약 2배에서 3배 정도의 고효율 단열재로 평가되며
특히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50mm는 에어로젤 단열재 (열전도율 0.013W/mk) 와
비슷한 단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이상의 두께에서는 동일 두께의 에어로젤보다
단열성이 크게 증가하는 고성능 단열재가 됩니다.
아홉번째 내용과 열번째 내용은
논문
<기존 열반사 단열재의 문제점 및 다층반사형단열재에 관한 연구>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장점이 많은 저방사 복합 단열재 또한
필수적으로 취약한 점이 존재하는데
태화단열 온라인팀에서
취약한 부분들에 대한 정리도 해봤습니다.
(열반사와 취약한 지점은 거의 비슷하지만 다시 열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취약한 부분으로
첫 번째는
열반사와 동일하게
저방사 또한
공기층이 없으면
단열자재로서의 성능을
100% 발휘하기 힘들어집니다.
두 번째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 역시 마찬가지로
은박표면이 오염 되었을 경우에
반사되는 효과가 급격히 줄어들어
표면 방사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반사단열재 고유의 단열효과를
저감 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세 번째로
역시 습식시공이 불가합니다.
습식을 하게되면
은박 표면에서 반사된 열이 빠져나갈 수 있는 길을 막아버리기 때문에
단열성능을 발휘 할 수 없습니다.
(공기층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과 일맥상통 합니다)
은박은 금속이라 열이 매우 잘 통하는 전도체 입니다.
네 번째로
저방사 복합 단열재 내부에 독립된 벌집 모양의 공기층 (셀)
은 너무 크거나 작아버리면
단열성능을 올바르게 충족시키기 힘듭니다.
셀이 너무 커버리면 대류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셀이 너무 작아버리면
공기층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셀의 크기는 제조업체 마다 상이할 것이며
업체마다 여러 시험을 통해
셀의 크기를 어느정도의 싸이즈로 생산해야
단열성능이 가장 효율적일지
제조방법의 노하우가 있을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마지막 다섯번째로
저방사는 복합단열재로 분류가 되어
부피단열재의 전도율 측정방식과는 다르게
관류율로만 단열성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필수적으로 마감재
(화강석 및 적벽돌, 판넬 등)
를 같이 부착해서 단열성능을 측정하는데
제조회사 측에서는
각 마감재료에 맞게끔
관류율 성적서를 확보한 후 제품 판매를 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저방사 복합 단열재 60T에
마감은 징크판넬로 잡혀있는 경우
추후 준공서류를 제출 할 때
징크판넬 마감용으로 시험을 치른 성적서를 제출해야지만
온전한 저방사 복합 단열재 관류율 성적서로 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징크판넬 성적서가 아닌 엉뚱한 마감재 성적서로 제출을 하면
인정받을 수 없는 성적서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조업체측 에서는
시장선호도가 높은 마감재료들을 기준으로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관류율 성적서를
각기 따로 받아야 하는 수고로움과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반대로 소비자분들의 입장에서도
내가 찾는 마감재료와 저방사 복합 단열재가 함께
관류율 시험을 치르고 확보한 성적서가 있는지에 대해
제조업체 및 판매처에 꼭 확인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마감재료와 함께
단열성능시험 (관류율 시험) 을
치루어야 하며
소비자가 찾는 마감재료와 단열재가
함께 관류율 시험을 치룬 성적서가 없다면
사용을 할 수 없다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저방사 복합 단열재 시험성적서 내용이 나온김에
부수적인 설명을 덧붙이자면
부피 단열재는
두께별 전도율 성적서가 필요없이
통일 된 전도율 성적서 하나만 있어도 단열성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두께별 관류율 성적서를
(20T, 30T, 40T, 50T, 60T, 80T, 100T 등)
모두 따로 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두께별성적서 및 마감재별 성적서
두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복합단열자재 단열성적서로 온전히 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방사 복합 단열재 40T 복합판넬 마감 관류율성적서 예시 저방사 복합 단열재 50T 화강석 마감 관류율성적서 예시 저방사 복합 단열재 60T 적벽돌 마감 관류율성적서 예시 저방사 복합 단열재 80T 세라믹판넬 마감 관류율성적서 예시 저방사 복합 단열재 100T 석고보드 마감 관류율성적서 예시 *제품상호명 및 마감재 두께, 콘크리트 두께, 공기층 두께는
각 제조업체마다 가지고 있는 노하우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일부러 삭제했습니다.
여기서 또 하나.
이렇게
저방사 복합 단열재와 마감재료를
함께 부착해 시험을 치룬 성적서를
구조체 성적서라 합니다.
구조체라 하면
화강석 마감, 적벽돌 마감, 판넬 마감, 내단열 석고보드 마감 등
의 마감재 친구들과 함께 한 시험을 말합니다.
반대로
마감재 친구들 없이
저방사 복합 단열재 단독으로
관류율 성능 시험을 치룬 성적서를
구성재 성적서라 합니다.
제조업체마다 구성재 성적서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와 보유하지 않은 업체 등
다르겠지만
구성재 성적서가 있어도, 없어도 크게 의미가 없는 이유는
앞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복합자재로써
전도율 시험으로 단열성능 테스트를 하는것이 불가하기 때문에
관류율 시험으로 단열성능 테스트를 합니다.
그래서
저방사 복합 단열재와 마감재료를 모두 부착해
최대한 실제 상황과 똑같은 예시로 세팅을 하고
단열성능 테스트를 합니다.
저방사단열재 50T 구성재 성적서 예시 저방사단열재 60T 구성재 성적서 예시 한편
열반사는 부피단열재처럼
여러장을 겹쳐서 사용해도
그 효과가 배가 되거나 좋아지지 않는다고 말씀드렸는데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내부에 공기층 (셀) 이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장을 겹침시공하면 단열성능이 더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오늘 태화단열의 온라인팀에서
준비한 저방사 복합 단열재에 관한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 이어질
저방사 복합 단열재 시리즈 3편의 주요 내용은
저방사에 관한 논문 및 시공방법
등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다들 힘내시고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상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방사 복합 단열재
에 관한 포스팅은
특정 회사 및 특정 회사 제품의 홍보와 광고,
비난과 비방을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내용이 아니며,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축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과의
단열자재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포스팅 입니다.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내용만을
다루기 위해 노력 하겠습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재 알아보기 > 저방사복합단열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재 준불연 저방사복합단열재, 과연 외벽단열에 효과가 있을까? (3) 2024.10.26 태화단열산업의 심재 준불연 저방사단열재 (0) 2024.10.24 외단열에 적합한 심재준불연 저방사단열재, 의무사용 규정은? (2) 2024.10.21 다층반사형단열재라 불리는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의 모든 것 (2) 2023.10.19 열 이동 잡는 단열경찰, 저방사단열재 (0) 2023.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