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층반사형단열재라 불리는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의 모든 것단열재 알아보기/저방사복합단열재 2023. 10. 19. 22:00728x90반응형
반갑습니다 여러분!!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
시리즈의 세번 째 내용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지난 시리즈 1편에서는
저방사 기능 및 제품의 구성등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포스팅을 했었고
시리즈 2편에서는
특징 및 장, 단점 등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포스팅을 했었습니다.
오늘 3편에서는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의
여러 논문에 관한 이야기 및 시공방법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팅 내용 중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는
열반사전용테이프로
기밀한 시공이 가능한 점이
장점 중 하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접착식으로 스티커만 벗겨내어
간편하게 부착하는 방법도 있지만
태화단열의 블로그에서는
굳이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사무실 온실 속 화초같이 너무나 약한 존재인
저희도 쉽게 하는 방식이라 너무 간편해서
쓸 내용이 없습니다;;
자, 다시 본 내용으로 돌아와서
대부분 외벽에는 타카식 시공방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과거에는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
전용 타카총과 타카캡, 타카핀으로 시공을 했었지만
현재는
일반 화스너 가스총과 화스너로
시공하는 방식을 더 선호합니다.
그리고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는
일반 부피단열재와는 달리
단열재 내부가 공기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스너총으로 화스너를 격발할 경우
움푹 들어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부피단열재의 경우
비드법단열재 50T를 시공하려면
인슈화스너 50T로 단열재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사용을 해야하지만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 50T의 경우
인슈화스너 40T로 시공을 하시면 됩니다.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는
일반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산업용 칼 및 커터칼로도
현장에서 너무 간편하게 절단을 할 수 있는 점 또한 장점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기물 발생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의 시공방법에 대해
조금 더 디테일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처럼
먼저 건물의 내부 및 외부 평평한 지점에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를
타공 및 접착 후
가장 중요한 공기층을 확보 해야합니다.
그 후 화강석, 적벽돌, 판넬 등 기타 마감재로 마감을 해주시면 됩니다.
(접착식 제품의 경우 붙이려는 지점에 먼지 및 이물질이 있으면 접착력이 저하 될 수도 있습니다)
현장에서 저방사단열재 절단 후 타카총으로 시공하는 방법 현장에서 일반 타카총으로 저방사단열재를 시공하는 모습 현장에서 저방사단열재 시공 시 은박테이프로 마감을 하는 모습 저방사단열재를 은박테이프로 기밀시공하는 모습 다음은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에 관한
각종 논문의 내용을 발췌 한 부분입니다.
논문 제목
<기존 열반사 단열재의 문제점 및 다층반사형단열재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학박사 : 이무진 교수님-
-경일대학교 산업기술정보연구소 연구교수, 공학박사 : 이강국 교수님-
본문 내용 中
4.1 다층반사형단열재의 단열성능
1) 다층반사형단열재의 열이동 메커니즘 및 형태
다층반사형단열재의 열이동(복사, 전도, 대류) 차단 메커니즘
유리섬유, 스티로폴, 셀루로우즈 등
부피단열재는 갇힌 공기원리를 이용해 전도 및 대류 현상을 감소시켜
열전달을 저하 시킬 수 있으나, 복사열 차단 효과가 매우 낮다.
그러나, 반사형단열재의 금속박판은 저 방사율 (0.05이하)로서
복사열 전달의 약 98% 이상을 차단 할 수 있다.
a. 복사열 : 2~8개의 AL Foil층에 의해 매층마다 98% 이상의 복사열 차단
b. 전도열 : 2~8 개의 AL Foil층이 각각 단열성 격리재에 의해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도열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
c. 대류열 : 2~8 개의 AL Foil층이 각각 10mm 간격으로 격리재에 이격 배치되고
격리재의 배치 간격은 100mm간격으로 가로 세로로 설치되어 그 사이의 공기층이 각각
밀폐되어 있으므로 대류열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
5. 결론
다층반사형단열재의 단열성능은 스티로폴 두께 대비
C-1형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 두께 20mm)은 (스티로폴 두께 35mm) 1.8배
C-2형 (두께 30mm)은 (두께 57mm) 1.9배
C-3형 (두께 40mm)은 (두께 88mm) 2.2배
C-4형 (두께 50mm)은 (두께 150mm) 3.0배
의 단열성을 가진 고효율 단열재로 평가되었다.
논문제목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 설계인자에 따른 벽체 단열성능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 서준식 님-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주임연구원 : 홍승훈 님-
-한국교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학박사 : 노상태 교수님-
본문 내용 中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와 비드법 보온판 간 수치해석
Table 8은 저방사 단열재 모델과
비드법 보온판 모델 간 수치해석 데이터 값을 나타낸다.
비드법 보온판 모델은 EPS_Case 1 에서 EPS_Case 15까지
주 단열재의 두께가 10mm에서 150mm로 구성되었다.
해석 범위는 최소 EPS_Case 1 (10mm) 기준 1.321 W/(㎡.K)에서
최대 EPS_Case 15 (150mm) 기준 0.205 W/(㎡.K)로 분석되었다.
저방사 단열재와 비드법 보온판 간 차이를 보면
두께에 따라 상대오차 차이는 있지만
저방사 단열재의 모델이 비드법 보온판 모델보다
약 25% 정도 단열성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 적용에 따른 벽체 두께 저감 분석
Table 11은 2018년 국토교통부 고시 기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에 따른 지역별 단열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비드법 보온판 단열재와 저방사 단열재의
적용 두께를 비교분석한 결과이다.
중부지역(1) 0.15 W/(㎡.K)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비드법 보온판 단열재 (220mm 이상)
두께 대비
저방사 단열재 (170mm 이상)
두께가 약 2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주도의 경우 비드법 보온판 단열재 대비 저방사 단열재가 약 27%
두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장 큰 저감 효과를 보였다.
결론
(2) 수치해석을 통한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와
비드법 보온판 간 열관류율 값 비교 결과
저방사 단열재와 비드법 보온판 단열재의 두께 간
차이는 있지만 저방사 단열재가 비드법 보온판보다
두께 대비 약 25%정도 단열성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략
(5)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 적용에 따른 벽체 두께 저감율을 분석한 결과,
중부지역(1) 0.15 W/(㎡.K)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비드법 보온판 단열재는 220mm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하지만,
저방사 단열재는 170mm 이상의 두께에서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약 23% 단열재 두께에 따른 벽체 두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논문제목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의 단열성능에 관한 실험>
-EN Buildings 기술연구소 팀장, 공학석사 : 김경상 님-
-EN Buildings 기술연구소 소장, 공학석사 : 박태성 님-
본문 내용 中
2. 저방사 단열재
2.1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의 특성
저방사 성능의 알루미늄 필름과 독립 된 밀폐 공기층을 이용해
복사열, 전도열, 대류열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단열재로
동일한 단열성능 기준 적용 시 부피 단열재 대비 두께가 얇아
건축물의 공간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연한 재질로 시공이 간편하고
기밀 시공이 가능해 편리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4. 시험결과 및 고찰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의 성능 평가를 위해
열관류율 시험을 진행하였다.
표 1업체별 저방사 단열재 열관류율 측정 결과이다.
분석 결과 업체에 따른 열관류율의 차이는 있지만
단열재 두께에 비례해 일정하게 열관류율 값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저방사단열재 두께별로 평균
30mm의 경우 0.673 W/㎡.K
40mm의 경우 0.596 W/㎡.K
50mm의 경우 0.461 W/㎡.K
60mm의 경우 0.348 W/㎡.K
로 나타났으며,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 10mm를 적층하였을 때
평균 120.8% 성능이 향상 되는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업체에 따라 표면 방사율, 공기층의 형상, 저방사 단열재의 형태
(완전 충진형, 부분 충진형, 단층형, 다층형)
에 따라 단열성능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0mm의 경우 업체 간 최대 0.280 W/㎡.K 로
결과에 55.1%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시다시피
여러 논문에서도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의 효과에 대해 입증을 하고 있습니다.
아직 작성하고 싶은 내용도 너무 많고
여러분들께 보여드리고 싶은 자료들도 너무 많지만
4시간째... 포스팅을 하면서 너무 지쳐버렸습니다...
아쉽지만
다음 시리즈에서
못다한 이야기에 대해 조금 더 깊이있게 풀어보는걸로
기약하며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태화단열의 온라인팀 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방사 박막 복합 단열재
에 관한 포스팅은
특정 회사 및 특정 회사 제품의 홍보와 광고,
비난과 비방을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내용이 아니며,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축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과의 단열자재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작성되어진 비영리 포스팅 입니다.
태화단열 블로그에서는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내용만을 다루기 위해 노력 하겠습니다.
728x90반응형사업자 정보 표시태화단열 | 최희석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운구 3.15대로 572 | 사업자 등록번호 : 862-08-02061 | TEL : 010-8536-1970 | Mail : taewhainsulation@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단열재 알아보기 > 저방사복합단열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재 준불연 저방사복합단열재, 과연 외벽단열에 효과가 있을까? (3) 2024.10.26 태화단열산업의 심재 준불연 저방사단열재 (0) 2024.10.24 외단열에 적합한 심재준불연 저방사단열재, 의무사용 규정은? (2) 2024.10.21 단열깡패, 저방사 복합 단열재 취조 들어갑니다 (0) 2023.09.25 열 이동 잡는 단열경찰, 저방사단열재 (0) 2023.08.31